😀 겨울철 3대 질환 수족냉증, 저온화상, 피부건조
1, 수족냉증 :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끼는 상태
▶ 원인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대체로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에 교감신경 반응이 예민해져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이나 발과 같은 말초부위에 혈액공급이 줄어들어 발생하고, 또 다른 원인으로는 출산이나 폐경과 같은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혈액순환과 여성 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 증상
추운 곳에 있을 때뿐만 아니라 따뜻한 곳에서도 손발이 시리듯 차가우며, 무릎,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부위에서 냉기를 느끼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 자가진단법 (수족냉증 vs 단순히 차가운 손발)
1. 차가운 얼음물에 2분간 손목까지 축 담근다.
2. 손을 빼고 5분 후, 피부색이 돌아온다면 정상이다.
3. 5분이 지나도 피부색이 하얗거나 파란색이면 수족냉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 예방
첫째,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하기.
손발뿐 아니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해야 합니다. 두꺼운 옷 한 벌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겹 껴입고 귀마개, 목도리, 장갑 등을 가능한 모두 사용하여야 합니다. 거리를 걸을 때에는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걷고 세수를 할 때는 따뜻한 물로 하도록 합니다.
둘째, 금연.
담배의 니코틴은 혈관은 손상시켜 손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합니다. 흡연은 금기이고, 간접 흡연도 피해야 합니다.
셋째, 교감신경 흥분제 복용 금지.
감기약, 피임약, 혈압약 등은 교감신경의 불균형을 일으켜 혈관을 수축시킬 수도 있습니다.
넷째, 강한 진동의 장시간 노출 금지.
재봉틀 등 강한 진동이 있는 기계에 장시간 노출이 되면 말초혈관을 손상시켜 수족 냉증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2, 피부건조: 건조함으로 인해 불편감을 느낄 수 있는 피부의 상태
▶ 원인
날씨가 추워지면서 피부의 신진대사가 약화되어 피부 지방 샘으로부터 지방 분비가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 표면에 보호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수분이 증발하여 발생합니다. 또 뜨거운 물로 목욕을 자주 하거나 과도한 비누의 사용, 옷을 많이 껴입어 정전기의 발생 등이 피부에 자극이 가기 쉽습니다.
즉, 수분 부족과 피부에 자극이 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 증상
피부가 가뭄철 논바닥이 갈라지는 듯한 모양의 피부 균열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악화되면 피부상피에 균열이 생기게 되어 앉거나 몸을 펴는 등의 자세를 취할 때 마치 피부가 트는 것처럼 가렵고 따가움을 느끼게 됩니다.
▶ 예방
첫째, 사우나 오래 하지 않기.
장시간의 사우나는 피부 바깥의 유분과 수분을 부족하게 만듭니다.
둘째, 목욕 시 과도한 각질 제거 금지.
피부의 각질층이 손상되어 피부의 수분 손실이 증가하게 됩니다.
셋째, 물기 마르기 전 보습제 바르기.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샤워 후 3분 이내, 일반인은 5분 이내에 보습제를 바르기를 권장합니다.
넷째, 물을 많이 마시기.
물이 신체 내에 흡수되면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습니다.
다섯째, 가습기 틀기.
히터 등으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진다면 가습기를 틀어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3, 저온화상 : 따뜻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의 체온보다 높은 40도 이상의 온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증상
▶ 원인
전기장판이나 핫팩, 휴대용 손난로 등의 전열기구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같은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면 발생합니다.
▶ 주의
첫째, 감기약 먹은 사람은 전기 장판에서 자지 마라.
감기약을 먹고 자면 너무 깊이 잠들기 때문에 화상을 입고 있다는 것도 모르게 됩니다.
둘째, 당뇨병 환자는 족욕기를 사용하지 마라.
발의 감각이 둔해진 당뇨병 환자는 피부의 온도 감지력이 떨어져 족욕기가 뜨거워도 느끼지 못합니다.
▶ 예방
첫째, 전기장판 사용시.
수면 중에는 온도 변화에 둔감해지므로 체온과 유사한 온도에 맞추고 자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핫팩 사용시.
핫팩은 순간 온도가 70도에 달하므로 각별히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셋째, 전기 히터 사용시.
최소 1미터 이상 안전 거리를 두고 사용해야 합니다.
넷째, 전기 찜질기 사용시.
표면 안전 온도가 60도이므로 적정 온도를 지키며 사용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겨울철에 발생하는 3대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질환들은 초기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다면 심각한 2차 피해를 보지 않을 것입니다.
위의 예방법들을 잘 숙지하시고 안전하고 건강한 겨울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사랑좋은글 중-
'삶에 도움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당무계 유머시리즈~ (1) | 2023.12.12 |
---|---|
뇌가 건강해지는 10가지 방법 (0) | 2023.12.11 |
죽은 관절도 살리는 "신선약초" 7가지!! (2) | 2023.12.07 |
100세 삶을 즐겨라!! (3) | 2023.12.06 |
웃기는 오리씨리즈! (0) | 202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