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 도움되는 글

⊙ 齒弊舌存 ⊙ (치폐설존)

yun jong 2020. 7. 27. 09:31


⊙ 齒弊舌存 ⊙ (치폐설존)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

중국의 사상가이며
 도가 철학의 시조인
 노자(老子)가 눈이 많이 내린 아침 숲을
거닐고 있었습니다.

그때 어디선가 들리는 요란한 소리에
 노자는 깜짝 놀랐습니다.

노자는 고개를 돌려 쳐다보니
굵고 튼튼한 가지들이 처음에는
눈(雪설)의 무게를 구부러짐 없이
지탱하고 있었지만 점차 무거워지는
눈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요란한 소리를 내며 부러져버렸습니다.

반면 이보다 가늘고 작은 가지들은
 눈이 쌓임에 따라
자연스레 휘어져 눈을 아래로
떨어뜨린 후에 다시 원래대로 튀어
올라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본 노자는 깊이 깨달았습니다.

 "저 나뭇가지 처럼 형태를
 구부러뜨림으로써 변화하는 것이
 버티고 저항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이치로구나!"

부드러움은 단단함을 이깁니다.
부드러운 것은 자신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듯
 자신을 낮춰 상대의 의견을
 경청하고 좋은 것을 취하는
사람이야말로 세상을 이기는
지혜로운 사람일 것입니다.

'노자'가 평소에 공경하여 따르던
 '상용'이 노환으로 자리를
 보전하게 되었다.

그 때 노자가 그를 찾아가
마지막 가르침을 청했다.

그러자,
상용은 갑자기 입을 쩍 벌렸다
 다물고는 물었다.

"내 이가 아직 있는가?"
"없습니다"

그는
 다시 입을 벌렸다가 다물며 물었다.

"내 혀는 남아 있는가"
"있습니다"

잠시 침묵하던 상용이 말했다.

"내 말을 이해하겠는가"

노자 왈 "단단한 게 먼저 없어지고
 부드러운 게 남는다
는 말씀 아니었습니까"

상용은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네 천하의
 이치가 모두 그 안에 있다네"

이것은 '齒敝舌存(치폐설존)'
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이다.
-좋은 글 중에서-

'삶에 도움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세( 萬歲)는 왜 세번 부를까?  (0) 2020.07.29
100살의 비결  (0) 2020.07.28
아름다운 인연  (0) 2020.07.23
남에게 좋은 것을 주면 준 만큼  (0) 2020.07.22
3초가 주는 행복  (0) 202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