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안내 및 소개 글

풍경을 읽다

yun jong 2014. 9. 23. 17:15

전시제목 : 풍경을 읽다

전시기간 : 2014년 09월 25일(목) ~10월 1일(수)

전시장소 : 갤러리 이룸

 

 

 

 



풍경을 읽다

- 사진으로 담아낸 사인사색의 심상 -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은 개인적인 경험과 삶에 따라서 다르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tier Bresson:1908-2004)은 ‘사진을 찍을 때 한쪽 눈을 감는 것은 마음의 눈을 위해서이다’라고 말했다. 감긴 한쪽 눈이 마음의 눈을 열고 그 눈을 통해 삶을 발견하고 변화시키는 창조의 결정적 순간을 포착한다는 말이다.

 이룸갤러리(02-2263-0405)에서는 오는 9월 25일부터 10월1일까지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진영상학과 대학원생들의 4인전(이순희, 이호섭, 정성태, 주적)이 개최된다.

이 전시는 졸업을 앞둔 대학원생들이 지금까지 작품 크리틱과 워크샵을 통해 개척한 자기 나름의 사진세계를 보여준다. 사실의 재현에만 국한되지 않고 평범한 소재로부터 내재된 의미를 환기시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낸다.

이순희는 경주 계림의 나무에서 신라 천년의 정령을 만난다. 이호섭은 안개 속에 감추어진 산수의 동양미학을 담백하게 담았다. 정성태는 도시의 소외되고 오래된 지역에서 흔적읽기를 통해 자아의 그림자를 채집한다. 중국에서 유학온 주적은 한국인에게 장독대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가 무엇인지 외국인의 시선으로 우리에게 되묻고 있다.

 이들의 사진작업이 비록, 동시대 사진예술을 관통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각자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는 진행형의 전시이다.


∎ 작가

이 순 희 (李順姬 / Lee, Sun Hee)

精靈의 숲

    하늘을 향해 곧게 뻗은 줄기와 땅속으로 거대한 뿌리를 내린 나무가 자리를 지키며 서 있다. 찬란한 가을을 지나 겨울이 되면 무성한 잎에 가려 보이지 않던 줄기와 뿌리가 모습을 드러낸다.
이른 새벽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카메라를 메고 계림 숲을 찾는다. 아무도 드나들지 않는 그 곳에서 나는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셔터를 누른다.
사물의 경계가 겨우 보일 듯한 어둠의 시간, 파인더 안에서 나무의 형태를 형상화 시키는 본인에게 나무는 말없이 스스로의 존재를 드러내 보여준다.


이 호 섭 (李湖燮 / Lee, Ho Seop)

안개와 노닐다.

    사진은 짙은 안개가 낀 날에 가끔씩 드러나는 나무, 바위, 능선 등을 촬영한 것이다.
안개가 그려낸 간결한 선, 희미하게 보이는 나무와 바위, 조금씩 흩어졌다 모이며 만들어 내는 여백은 사유의 여지를 남겨 놓는다. 이 사유의 공간은 세상의 물성을 지워내고 경계를 넘나들며 현실과 이상향을 동시적으로 꿈꾸게 할 뿐만 아니라 안개에 휩싸인 나무와 바위가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경지에 나를 다다르게 한다.
산의 기묘한 절경이 안개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이로 인해 만들어진 여백과 간결한 외형으로 소박하고 담백한 동양의 미학을 표현하고자 한다.

정 성 태 (鄭成太 / Jung, Sung Tae)

the Shadow

태초에 인간과 자연의 관계로부터
도시는 인간 삶의 자취와 흔적을 품은 유기체로 그 존재를 드러낸다.
까닭에 도시는 숨 쉰다.

소외되고 버려지고 오래된 보잘것없는 흔적들이 도시의 그림자로써 기표되고 인간과 도시가 그곳에 공존했다는 단초를 제공한다. 도시공간에서 찾아낸 삶의 흔적들은 도시의 나이테로 생명을 부여 받고 객관적 대상으로 나와 마주하게 된다.

도시는 태어나고 성장하고 소멸하고 잊혀지는 유기체 같은 삶을 반복하면서 내가 그곳에 살았고 있었다는 무수한 흔적과 단서들을 흩뿌려둔 채 지금도 분열하고 있다.


주 적 (周迪 / Zhou, Di)

한국의 食 문화 (장독)

 나는 중국인으로 지난 3년전부터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다.
외국인인 내 눈에 건축과 일상생활등 다양한 한국의 문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특히 식(喰)문화에 괸심을 갖게 되었다. 한국인의 식생활에 가장 중요한 간장, 된장, 고추장등을 담는 장독을 테마로 작업하였다.
더 이상 가정에서 직접 간장, 된장 등을 만들지 않는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장독을 지키고 계시는 나이 드신 분들의 인물사진과 장독대를 함께 촬영하면서 사라져 가는 한국의 음식문화를 기록하였다.


김 대 곤 (金 大 坤/ Kim Dae Gon)

십육 아라한(Arhan)
부처와 중생을 이어주는 것이 나한 신앙이다. 나한이란 아라한(阿羅漢)의 약칭이며 아라한은 범어 아르한(arhan)의 음역으로 오백비구(五百比丘). 오백상수(五百上首)라고도 합니다. 아라한은 공양받아 마땅한 자, 공양으로 복을 심는 밭 진리에 상응하는 자, 나고 죽는 윤회에서 벗어난 자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는 자 등으로도 불립니다. 나한은 불제자들이 도달하는 최고의 계위로, 이들은 생사윤회를 초월하여 최고의 깨달음을 이루었다고 하며 매우 덕이 높은 성자로 추앙받았습니다.

내안에 부처가 있었고 내안에  나한님이 있었다.
오늘 비로소 십육분의 나한을 봉안한다.
십육나한 불사는 하나의 부처님에 대한 공양인 동시에 간절한 나의 기도이다.

천태만상의 인간적인 모습으로 기도하는 사람들의 표정에서 십육나한을 찾아내는 것이 이 작업에서 내가 던지는 메시지다. 기도가 불성과 속세를 이어 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계속 오백나한의 작업을 해나갈 것이다.

 

'전시안내 및 소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저 웃음을 건네세요  (0) 2014.09.24
김정민 개인전 - 바람에 머물다.   (0) 2014.09.24
치매 할머니의 사랑  (0) 2014.09.23
사랑밭새벽편지  (0) 2014.09.22
AMA PROFESSIONAL NEWSLETTER 170   (0) 2014.09.20